맨위로가기

삼렬 성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렬 성운(Trifid Nebula, M20)은 지구에서 약 4,100광년 떨어진 방출 성운, 반사 성운, 암흑 성운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천체이다. 1997년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을 통해 수소, 황, 산소 원자의 빛을 연구했으며, 항성 보육장과 항성 제트, 증발성 기체 덩어리(EGGs)를 발견했다. 2005년 스피처 우주 망원경은 가시광선에서는 보이지 않던 배아 별과 신생 별을 찾아냈다. 샤를 메시에가 성단으로 기록했으며, 존 허셜이 삼렬 성운으로 명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궁수자리-용골자리 팔 - 메시에 26
    δ별에서 동쪽으로 50분 거리에 위치한 메시에 26은 은하수의 짙은 부분에 자리 잡아 어두운 하늘에서도 찾기 어려운 산개 성단으로, 주위에 암흑 성운이 분포하며 1764년 샤를 메시에가 발견하고 존 허셜이 추가 관측했다.
  • 궁수자리-용골자리 팔 - 메시에 24
    메시에 24는 샤를 메시에가 발견한 은하수 내 성운으로, 밝기가 다양한 별들이 흩어져 있으며 NGC 6603을 포함하고, 존 허셜의 관측 기록은 추후 연구에 혼란을 주기도 했다.
  • 1764년 발견한 천체 - 메시에 26
    δ별에서 동쪽으로 50분 거리에 위치한 메시에 26은 은하수의 짙은 부분에 자리 잡아 어두운 하늘에서도 찾기 어려운 산개 성단으로, 주위에 암흑 성운이 분포하며 1764년 샤를 메시에가 발견하고 존 허셜이 추가 관측했다.
  • 1764년 발견한 천체 - 메시에 24
    메시에 24는 샤를 메시에가 발견한 은하수 내 성운으로, 밝기가 다양한 별들이 흩어져 있으며 NGC 6603을 포함하고, 존 허셜의 관측 기록은 추후 연구에 혼란을 주기도 했다.
  • 전리수소영역 - 오리온 성운
    오리온자리에 위치한 밝은 확산 성운인 오리온 성운(M42)은 육안으로도 관측 가능하며, 중심부에는 트라페지움 성단이 존재하고, 수많은 어린 별과 원시행성계 원반을 포함하는 활발한 별 생성 영역이다.
  • 전리수소영역 - 장미 성운
    장미 성운은 외뿔소자리에 있는 지구로부터 약 5,200 광년 떨어진 지름 약 130 광년의 발광 성운으로, NGC 2237, NGC 2238, NGC 2239, NGC 2246 영역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산개 성단 NGC 2244를 포함하며 활발한 별 형성 활동이 일어나고, 2019년 오클라호마주의 주 천문 객체로 지정되었다.
삼렬 성운
기본 정보
삼렬 성운
형태H II 영역, 반사 성운, 암흑 성운
위치궁수자리
거리4100±200 광년 (1,260±70 파섹)
겉보기 등급+6.3
시직경28 각분
반지름21 광년
다른 이름M20, NGC 6514, Sharpless 30, RCW 147, Gum 76
발견 정보
발견1764년 6월 5일
발견자샤를 메시에
물리적 정보
적방 편이-0.000007
시선 속도-2.13 km/s
고유 운동 (적경)2.63 밀리초/년
고유 운동 (적위)-1.01 밀리초/년
추가 정보
참고a

2. 특징

삼렬 성운은 지구에서 약 4100ly 떨어져 있으며, 겉보기 등급은 6.3이다. 거리는 5200ly 정도로 추정되지만, 2200ly부터 9000ly까지 여러 설이 있다.

같은 궁수자리에 위치한 석호 성운(M8) 바로 북쪽에 있다. M20 북동쪽에는 M21산개 성단이 있다. M20은 쌍안경으로 석호 성운과 같은 시야에 희미하게 보일 뿐이며, 소구경으로는 세 부분으로 보기 어렵다. 중앙부 성운 맺음점에 있는 삼중성 NH40은 윌리엄 허셜이 발견했으며, 구경 10cm 정도 망원경부터 보이기 시작한다. NH40은 뚜렷하게 색깔이 다르게 보이는데, 하나는 겨자색, 다른 하나는 숯이 다 타버린 듯한 색, 마지막 별은 흰색으로 보인다고 한다.

구경 20cm 망원경에서는 조건이 좋을 때 암흑대가 보인다. 구경 30cm에서는 4개로 분리된 모습을 관측할 수 있으며, 구경 50cm에서는 암흑대 내부의 복잡한 모습을 관측할 수 있다. M20은 육안으로 보기 어렵지만, 사진 촬영에는 적합하며, 비교적 쉽게 세 부분으로 갈라진 모습을 찍을 수 있다.

2. 1. 구조

삼렬 성운은 세 부분으로 갈라져 보이는 듯하나, 실제로는 M20의 밝게 빛나는 발광 성운 앞에 있는 암흑 성운 때문에 뒤의 발광 성운이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보이는 것이다.

M20은 북쪽과 남쪽의 성질이 다르다. 북쪽은 푸른 반사 성운이고, 남쪽은 붉은 휘선 성운이다. 삼렬 성운처럼 보이는 것은 남쪽의 붉은 휘선 성운 쪽이다.

근처에는 M20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는 O형의 푸르고 젊은 별이 120개 정도 존재하며, 성단의 구조도 갖추고 있다. O형 별에서는 강력한 방사선이 나와 가스를 날려버리기 때문에, 그 주위에서는 더 이상 새로운 별이 생성되지 않는다.

1997년 허블 우주 망원경은 수소 원자, 이온화된 원자, 이중 이온화된 산소 원자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분리하는 필터를 사용하여 삼렬 성운을 연구했다. 이 이미지들은 성운이 육안으로 어떻게 보일지 짐작할 수 있도록 가짜 색상 합성 사진으로 결합되었다.

근접 이미지들은 배아 별들로 가득 찬 항성 보육장인 먼지와 가스의 밀집된 구름을 보여준다. 이 구름은 성운의 중심별에서 약 8ly 떨어져 있다. 항성 제트는 구름 머리에서 튀어나와 약 0.75ly이다. 제트의 근원은 구름 깊숙이 있는 젊은 별 천체이다. 제트는 별 형성의 배기가스이며, 성운의 중심별에서 나오는 방사선은 제트를 빛나게 한다.

이미지들은 또한 제트 오른쪽으로 손가락 모양의 줄기를 보여주었다. 이것은 밀집된 구름 머리에서 삼렬 성운에 동력을 공급하는 별을 향하고 있다. 이 줄기는 증발성 기체 덩어리의 두드러진 예이다. 이 줄기는 끝 부분이 별의 강력한 방사선에 의해 침식되는 것을 견딜 수 있을 만큼 밀도가 높은 가스 덩어리이기 때문에 살아남았다.

최근, 허블 우주 망원경 등에 의한 선명한 영상으로, 성운 내에 존재하는 원시성으로부터 제트가 발사되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2. 2. 항성 탄생

허블 우주 망원경은 1997년에 원시별에서 뿜어져 나오는 항성 제트를 포착했는데, 그 길이는 약 0.75ly에 달한다. 이는 별 형성 과정의 중요한 증거로 여겨진다. 제트의 근원은 구름 깊숙이 있는 젊은 별 천체이며, 제트는 별 형성의 배기가스이다. 성운의 중심별에서 나오는 방사선은 제트를 빛나게 한다.

2005년 1월,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스피처 우주 망원경은 가시광선 이미지에서는 보이지 않던 30개의 배아 별과 120개의 신생 별을 발견했다.

3. 관측 정보

궁수자리에 위치하며, 같은 궁수자리에 있는 석호 성운(M8) 바로 북쪽에 자리한다. 쌍안경으로도 희미하게 관측 가능하지만, 소구경으로는 세 부분으로 갈라진 모습을 보기 어렵다. 중앙부의 성운 맺음점에 있는 삼중성 NH40은 윌리엄 허셜이 발견한 것으로, 구경 10cm 정도의 망원경부터 보이기 시작한다. NH40은 뚜렷하게 색깔이 다르게 보이는데, 하나는 겨자색, 다른 하나는 숯이 다 타버린 듯한 색이고, 마지막 별은 흰색으로 보인다고 한다.

구경 20cm의 망원경에서는 조건이 좋을 때 암흑대가 보이며, 구경 30cm에서는 4개로 분리된 모습을, 구경 50cm에서는 암흑대 내부의 복잡한 모습을 관측할 수 있다. M20은 육안으로는 보기 어렵지만, 사진 촬영에는 적합하며 비교적 쉽게 세 부분으로 갈라진 모습을 찍을 수 있다.

최근(1997년) 허블 우주 망원경 등에 의한 선명한 영상으로, 성운 내에 존재하는 원시성으로부터 제트가 발사되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그 길이는 0.75광년에 달한다.

4. 관측 역사

샤를 메시에는 M20을 "성단"으로 기록했다. M20이 성운에 둘러싸여 있다는 것은 M20 근처에 있는 M21의 기록에만 적혀 있다.

존 허셜은 이 성운을 "삼렬 성운"이라고 명명했다. 그러나 존의 아버지 윌리엄 허셜은 이 성운을 "넷"으로 나누어 목록화했다.

1997년 허블 우주 망원경을 사용하여 천문학자들은 수소 원자, 이온화된 원자, 그리고 이중 이온화된 산소 원자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분리하는 필터를 사용하여 연구했다.

2005년 1월,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스피처 우주 망원경은 가시광선 이미지에서는 보이지 않던 30개의 배아 별과 120개의 신생 별을 발견했다.

참조

[1] simbad NGC 6514 2006-11-16
[2] journal Kinematics in Young Star Clusters and Associations with Gaia DR2
[3] journal Variation of the extinction law in the Trifid nebula 2011
[4] 웹사이트 Messier 20 http://www.messier.s[...]
[5] 웹사이트 Trifid Nebula: A Massive Star Factory https://www.scienced[...] 2009-08-26
[6] journal Chandra Observation of the Trifid Nebula: X-Ray Emission from the O Star Complex and Actively Forming Pre-Main-Sequence Stars 2004
[7] journal The Spatial Structure of Young Stellar Clusters. II. Total Young Stellar Populations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